Error loading page.
Try refreshing the page. If that doesn't work, there may be a network issue, and you can use our self test page to see what's preventing the page from loading.
Learn more about possible network issues or contact support for more help.

Space

Jun 01 2024
Magazine

Space is a specialized architectural monthly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66 and has been at the vanguard of covering the arts and culture scene here in Korea ever since. The magazine features not only architecture, but also divers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cross the spectrum of the fine arts. Space offers its readers a wide variety of architectural news throughout Korea, in Asia, and the world in general. Space has been officially listed on the Art & Humanities Citation Index of Thomson Reuters. 월간 SPACE는 1966년에 창간되어 한국의 건축문화 및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잡지로 성장하여 2008년 1월호 부터는 미국 톰슨로이터의 예술/인문학 인용색인에 등재되어 국제적으로도 인증 받는 건축전문잡지로서의 자리메김 하고 있습니다. 월간 SPACE는 미국 및 전세계 주요 국가의 서점 및 온라인을 통해 메거진을 구매 하실 수 있습니다.

This is a bi-lingual title in English and Korean

Space

건축가와 아틀리에의 상관 관계

News

Book

Field News

경계를 넓히고 흐름을 만드는: 유현준 Expanding Boundaries and Creating Flow: Hyunjoon Yoo • 유현준(홍익대학교 교수)의 건축은 명확한 주제를 가진 문장처럼 직조된다. 사람이 사람과 혹은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을지 고민하고 벽과 기둥, 창과 문, 계단과 발코니, 테라스와 마당 같은 요소의 앙상블을 통해 공간을 완성한다. 집, 학교, 사무실 어디서든 막힘없이 이동하는 흐름을 유도하고, 사용자가 외기를 접할 수 있는 경계 영역을 고집스레 만드는 것도 같은 이치다. 유현준의 근작에서 구성과 배치의 반동적 특성을 읽어낸 백진(서울대학교 교수)은 경제적 논리나 이념의 속박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계 맺기와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될 공동의 미래로 우리의 시선을 이끈다. The architecture of Hyunjoon Yoo (professor, Hongik University) is crafted like a sentence on a specific theme. While reflecting on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between humans and nature, Yoo fills up spaces with an ensemble of elements such as walls, pillars, windows, doors, staircases, balconies, terraces, and yards. A similar logic follows in the way he creates uninterrupted flows in homes, schools, and offices while stubbornly insisting on boundaried spaces so that users may engage with the exterior environment. Recognising this unique reactionary property in terms of the nature of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in Yoo's recent works, Baek Jin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appeals to us to go beyond the restrains of economy and ideology and to look forward to a collective future that is to be realised via the bonds of new relationships and mutual interactions.

건축은 관계를 디자인하는 것 Architecture is to Design Relationship

호미  HOMI • 제주도의 돌담과 수평선으로 만들어진 집은 어떤 모습일까?  What Would a House Made of Stone Walls and the Horizon Look Like on Jeju Island?

스머프 마을학교 Smurf Village School • 지식은 책에서 배우고 지혜는 자연에서 배우라 Learn Knowledge from Books and Wisdom from Nature

그리드스케이프 Gridscape • 변호사들이 모여 있는 오피스는 어떤 모습이 좋을까? What Should an Office Where Lawyers Gather Look Like?

아페르 한강 AFER Hangang • 마당 같은 발코니를 가진 아파트를 만들 수는 없을까? Is It Possible to Construct an Apartment with a Balcony Like a Yard?

반동적 구성과 공동의 열망 Reactionary Configuration and Collective Aspiration

THE ARCHITECT'S ATELIER 건축가의 아틀리에

건축가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아틀리에의 역사와 진화 Shaping an Architect's Identity: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Ateliers

THE ARCHITECT'S ATELIER Project 4 + 20

THE ARCHITECT'S ATELIER Interview


Expand title description text
Frequency: Monthly Pages: 134 Publisher: Space Magazine Edition: Jun 01 2024

OverDrive Magazine

  • Release date: June 5, 2024

Formats

OverDrive Magazine

Languages

English

Space is a specialized architectural monthly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66 and has been at the vanguard of covering the arts and culture scene here in Korea ever since. The magazine features not only architecture, but also divers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cross the spectrum of the fine arts. Space offers its readers a wide variety of architectural news throughout Korea, in Asia, and the world in general. Space has been officially listed on the Art & Humanities Citation Index of Thomson Reuters. 월간 SPACE는 1966년에 창간되어 한국의 건축문화 및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잡지로 성장하여 2008년 1월호 부터는 미국 톰슨로이터의 예술/인문학 인용색인에 등재되어 국제적으로도 인증 받는 건축전문잡지로서의 자리메김 하고 있습니다. 월간 SPACE는 미국 및 전세계 주요 국가의 서점 및 온라인을 통해 메거진을 구매 하실 수 있습니다.

This is a bi-lingual title in English and Korean

Space

건축가와 아틀리에의 상관 관계

News

Book

Field News

경계를 넓히고 흐름을 만드는: 유현준 Expanding Boundaries and Creating Flow: Hyunjoon Yoo • 유현준(홍익대학교 교수)의 건축은 명확한 주제를 가진 문장처럼 직조된다. 사람이 사람과 혹은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을지 고민하고 벽과 기둥, 창과 문, 계단과 발코니, 테라스와 마당 같은 요소의 앙상블을 통해 공간을 완성한다. 집, 학교, 사무실 어디서든 막힘없이 이동하는 흐름을 유도하고, 사용자가 외기를 접할 수 있는 경계 영역을 고집스레 만드는 것도 같은 이치다. 유현준의 근작에서 구성과 배치의 반동적 특성을 읽어낸 백진(서울대학교 교수)은 경제적 논리나 이념의 속박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계 맺기와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될 공동의 미래로 우리의 시선을 이끈다. The architecture of Hyunjoon Yoo (professor, Hongik University) is crafted like a sentence on a specific theme. While reflecting on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between humans and nature, Yoo fills up spaces with an ensemble of elements such as walls, pillars, windows, doors, staircases, balconies, terraces, and yards. A similar logic follows in the way he creates uninterrupted flows in homes, schools, and offices while stubbornly insisting on boundaried spaces so that users may engage with the exterior environment. Recognising this unique reactionary property in terms of the nature of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in Yoo's recent works, Baek Jin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appeals to us to go beyond the restrains of economy and ideology and to look forward to a collective future that is to be realised via the bonds of new relationships and mutual interactions.

건축은 관계를 디자인하는 것 Architecture is to Design Relationship

호미  HOMI • 제주도의 돌담과 수평선으로 만들어진 집은 어떤 모습일까?  What Would a House Made of Stone Walls and the Horizon Look Like on Jeju Island?

스머프 마을학교 Smurf Village School • 지식은 책에서 배우고 지혜는 자연에서 배우라 Learn Knowledge from Books and Wisdom from Nature

그리드스케이프 Gridscape • 변호사들이 모여 있는 오피스는 어떤 모습이 좋을까? What Should an Office Where Lawyers Gather Look Like?

아페르 한강 AFER Hangang • 마당 같은 발코니를 가진 아파트를 만들 수는 없을까? Is It Possible to Construct an Apartment with a Balcony Like a Yard?

반동적 구성과 공동의 열망 Reactionary Configuration and Collective Aspiration

THE ARCHITECT'S ATELIER 건축가의 아틀리에

건축가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아틀리에의 역사와 진화 Shaping an Architect's Identity: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Ateliers

THE ARCHITECT'S ATELIER Project 4 + 20

THE ARCHITECT'S ATELIER Interview


Expand title description text